수원시청
수원시청

수원시는 한때 청년정책을 선도하고 다른 지자체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는 등 ‘대한민국 청년정책 롤 모델’ 중 하나였다.

지난 2016년 수원시 청년정책관이 만들어진 이후 2018년 197명의 청년들이 인권, 일자리, 문화, 복지, 역량강화, 청년활동 6개 분야의 네트워크로 나눠져 활동했고, 이렇게 만들어진  정책들은 ‘트리플 청’으로 불리며 전국을 알렸다.

그리고 2019년 수원시는 ‘시민과 함께 만드는 청년도시 희망 수원’을 목표로  청년다움, 발돋움, 비움채움, 즐거움 등 4대 추진전략에 따라 청년정책을 추진한 바 있으며,  그 해  '청년이 꿈꾸는 미래의 도시'란 이름으로  경희대학교와 함께  수원시만의 미래지향적인 도시정책을 청년들과 고민하기도 했다.

그만큼 수원시는 청년 정책과 사회 문제 해결,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 연구까지 관심이 많았던 도시이자 타 지자체들의 롤모델이었다.

하지만 2년이 지난 수원시의 모습은 中途半斷(중도반단)이 되어버렸다.

수원시 청년정책위원회는 활동중에 있으나 어떤 정책을 만들어냈는지 모르는 기구가 되어버렸고, 청년 활동가들은 각각의 기관에서 따로 활동하거나 각자 활동하는 상황에 놓여버렸다.

수원시에서 활동하는 청년, 수원시 청년바람지대에서 활동하는 청년, 기타 수원시 산하 기관에서 활동하는 청년.

수원시에서 활동하는 청년들을 하나로 모이게 하는 네트워크가 부재한게 현재 수원시 청년 활동의 현 주소이다.

각각의 청년들의 목소리를 하나로 합칠 창구가 없기 때문에 청년들이 목소리를 내는 힘이 부족한게 현실이다.

그러기에 수원시만의 독특한 청년 아이디어는 현재 찾아보기 힘든 상황에 놓였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문제를 이미 작년부터 수원시는 알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작년 수원시  '2020 수원형 청년정책의 과제' 주제의 의정토론회에서 관련한 내용이 나왔었고, 사업의 계획단계부터 청년들을 참여시킬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함께 고민하며 사업을 완성해 나갔으면 좋겠다던 수원시 시의원의 말.

물론 소소한 상상이나 거창한 상상과 같은 공모사업들은 꾸준히 진행되며 해당 사업에 청년들이 참여하고 있고 시정 부분에 있어서도 3치 청년정책조정위원회가 운영되고 있지만, 예전처럼 많은 청년 네트워크들이 운영되어지고 있는 지는 의문점으로 남는 부분이다.

2018년에는 청년정책조정위원회와 함께 청년네트워크가 함께 활동했던 것을 생각해보면 현재의 상황이 많이 달라져버린게 현실이다.

특히 수원시가 자체적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될 방향을 스스로 더 잘 알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안타까운 대목이다.

수원시가 발표한 수원형 청년정책 추진원칙 중 첫번째 원칙은 "청년들을 지원은 하되 간섭은 하지 말자"이고, 두번째는 "청년 스스로 정책 입안부터 실행까지 주도한다"이다.

수원시 청년정책조정위원회외에도 다시 네트워크를 조성해, 그 네트워크 공간에서 청년들이 정책을 제안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그들의 목소리를 다시 귀기우려주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 아닐까라는 청년들의 목소리가 자그만하지만 마음속 한가운데에서 크게 울리고 있다.

그리고 그 목소리가 수원시정에도 닿길 바란다.

[ 청년의 목소리를 담는 전통 언론 / 청년투데이 ]

저작권자 © 금융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